건강한 날
오만둥이(Styela plicata)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만둥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미더덕과 비슷한 모양으로 비교되는 식재료입니다!
미더덕에 비해 비해 껍질이 두껍고 쫄깃하며 껍질까지 다 씹어 먹게 되죠~
오만둥이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오만둥이란?
오만둥, 오만디, 만득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오만둥이입니다.
분류학적으로 미더덕아과에 속하고 산란, 부착 시기도 미더덕과 비슷합니다.
작지만 모양이 멍게와도 비슷해서 흰명게로도 불립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한자어로 음충(淫蟲), 속어로 오만동(五萬童)이라는 바다 생명이 등장하는데 미더덕(참미더덕)이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표현으로 보아 돌미더덕-오만둥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오만둥이의 모양이 작은 멍게처럼 생기도 했지만 울퉁불퉁한 홈이나 주름이 있어서 돌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속에서 터지는 물과 특유의 바다 향은 덜하지만 미더덕보다는 껍질이 단단해서 겉껍질이 질긴 편인 미더덕보다 씹는 치감이 더 좋습니다.
껍질을 일일이 벗겨야 하는 미더덕보다 손질이 쉽고 뜨겁게 툭 터지는 물이 없이 씹어 삼킬 수 있어 먹기에도 편해서인지 미더덕의 자리를 대신하고 하고 있습니다.
오만둥이는 7~9월에 산란기, 10월~12월이 주 성장기입니다.
2. 영양 및 효능
미더덕의 영양이나 효능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미더덕처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고혈압을 예방하고 비타민B1, B2도 풍부합니다.
타우린이 풍부해 피로회복에도 좋습니다.
열량은 100g당 54kcal입니다.
3. 고르는 법
껍질이 단단하고 탄력이 있는 것이 싱싱합니다.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이 씹는 맛도 있고 물도 많습니다.
4. 손질법
바다에 있던 것이니 만큼 굵은 모래로 박박 문질러서 깨끗하게 씻어냅니다.
칫솔 등 작은 솔로 흙이나 잡티들도 깔끔하게 뗀 후 찬물에 여러 번 헹구어 냅니다.
5. 보관법
물기를 제거한 후 지퍼백에 담아 냉동 보관합니다.
6. 활용방법
미더덕을 대신한 모든 식재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회나 숙회로 먹어도 되고 콩나물 미나리 등과 함께 찜으로 먹기도 합니다.
콩나물 해물찜, 해물탕에서 혹은 칼국수나 수제비, 라면에 이르기까지 시원한 국물 맛을 내는 재료로 활용됩니다.
살짝 끓여 국물을 내거나 쪄서 먹습니다.
미더덕만큼의 향은 없지만 오도독 씹히는 식감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미더덕 대신 다양하게 쓰입니다.
오만둥이나 미더덕은 단백질이 많아 콩나물이나 미나리를 곁들이면 비타민C를 보완함으로써 영양의 균형을 이룹니다.
식재 |
용도 |
활용 메뉴 |
오만둥이 |
회 |
회, 숙회 |
찜 |
콩나물찜, 미나리찜 |
|
기타 |
해물탕, 수제비, 칼국수, 라면 |
'건강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고버섯(Shitake mushroom)이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0) | 2021.01.27 |
---|---|
산양삼(山養蔘)이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0) | 2021.01.26 |
미역(Sea mustard)이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0) | 2021.01.26 |
아마란스(Amaranth)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0) | 2021.01.25 |
좁쌀(Setaria italica)이란, 영양 및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법, 활용법 (0) | 2021.01.25 |